본문 바로가기
사람들

용인 한스농원 한갑규 대표

by 노현 2021. 11. 4.
728x90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사암리에서 15년간 버섯재배를 하고 있는 한스 농원 한갑규 대표를 만나 보았습니다. 오전 8시 임에도 불구하고 건물 내부에는  톱밥과 각종 영양분 및 물을 배합하는 배합기 돌아가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사무실에 들어가보니 컴퓨터와 책들이 눈에 띄었는데요. 버섯학, 미생물학 등 각종 버섯 관련 책들이 즐비하게 꽂혀 있었습니다.

한 대표와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버섯 재배사를 보니 정말 복잡한데요. 특별하게 버섯재배를 한 동기가 있나요?"라는 질문을 하니

한 대표는 "사실 버섯을 재배하기 전에는 냉동시설 관련 일을 하고 있었는데 21년전인 1995년 원삼면 학일리에 있는 버섯농가를 가 보았는데 그 당시 느타리버섯 2kg 가격이 2만원이 넘어 많은 수익을 얻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어요" 라며 이야기를 이어 나갔습니다. "그래서 돌아와서 소규모로 폐면 균상재배를 해보고 또 볏짚 균상재배 등을 해보았어요" 그러다 보니 버섯재배에 관심을 갖고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재배를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버섯재배가 일반 채소와 다르게 매우 어렵다고 하는데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

처음에 균상재배를 할때 폐면 즉 재료를 잘못 사용하여 실패를 하였을 때는 정말 앞이 깜깜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시행착오를 거쳐 극복하게 되었어요."라며 말을 이어 나갔습니다.

"요즘 잘 알겠지만 느타리버섯 가격이 다른 채소와 다르게 추석이 다가와도 거의 오르지 않아서 수익창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요"..

버섯 재배하는 농가가 늘지 않는데도 가격이 오르지 않는 이유를 묻자  "아마도 소비량이 늘지 않고 점점 감소되어 가격 역시 몇년 동안 제자리 거름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라며 쓴웃음을 지었습니다.

이러한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한 대표는 1,000평의 재배사에서 과학적인 영농과 다양한 재배방식을 통하여 연간 3억5천만원의 매출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 한스농원 내부에 한번 들어가 보겠습니다.

▲한스 농원 건물 외부에 한스라는 농원 이름이 표시되어 있네요.

옛날부터 버섯을 재배하는 곳은 깨끗하지 않는다는 편견이 있었는데 요즘은 모두가 현대화 시설을 갖추고 있어 깨끗한 환경에서 재배가 되고 있답니다.

특히 한스농원은 친환경농산물 인증 및 GAP인증을 받아 더욱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한 대표가 오늘 작업할 내역을 살펴보고 있답니다. 책상 위에 놓인 수첩과 메모지에 수많은 내용이 빼곡하게 적혀 있었습니다.

버섯 재배사 통로 모습입니다. 다른 버섯도 비슷하지만 느타리 버섯은 빛에 민감하여 대부분 재배사가 어둡습니다.

기계 돌아가는 소리의 주인공인 배합기 입니다.  배합기에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버섯재배에 필요한 톱밥, 비트펄프(사탕무에서 당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 면실박(목화의 씨에서 기름을 짜내고 남은 찌꺼기)에 물을 넣어 배합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재배사별로 배합 비율이 다르지만 대부분 톱밥 50%, 비트펄프 30%, 면실박 20% 기준으로 혼합하며 수분은 약 65%를 맞추어 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톱밥입니다. 버섯재배에 사용되는 톱밥은 대부분 미송톱밥, 포플러 톱밥 등을 사용하는데  한 대표는 포플러 톱밥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오래전에는 톱밥 이외에 부재료를 밀기울, 미강, 건비지, 대두박등을 이용하였는데 요즘은 가격이 많이 올라서 요즘은 사용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여기서 배합이 완료되면 버섯재배를 하는 병에 입병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살균을 하게 됩니다.

입병 하는 것도 각 농가별로 차이가 있는데 병 입구에서 1cm 아래까지 입병을 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또한 병뚜껑을 막을 때 환기량이 적당한 캡을 사용해야 합니다.

입병이 완료되고 살균을 하는데 사진에 보이는 것이 바로 살균기 입니다.

오래전에는 볏짚 재배할 때는 살균을 60도에서 6~8시간 동안 하였는데 세균 및 병해를 방지하고자 고압 살균기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압살균은 121도에서 50분을 살균하지만 한 대표는 직접 만든 살균기를 이용하여 고압살균과 상압 살균의 장점을 살려서 106도로 250분간 살균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이런 살균과정 거치면 톱밥 및 재료에 들어 있는 각종 병균이 사라진다고 보면 됩니다. 살균 작업 없이 재배를 하게 되면 푸른곰팡이, 붉은 빵 곰팡이, 세균성 갈반병 등 각종 병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답니다.

살균이 끝나고 나면 예냉을 거쳐 방생을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예냉을 하는 이유는 살균으로 인하여 고온으로 되어 있는 재료를 바로 낮은 온도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병 속에 응결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예냉을 마치고 방랭과정을 거친 다음 종균을 이용하여 접종을 실시합니다.

접종하는 곳 내부는 청결이 매우 중요하고 무균을 유지해야 하여 알코올을 이용한 소독이 매우 중요하며 가능한 청결도를 5,000 class(공기 중 먼지수) 이하를 유지시켜주어야 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곳이라 청결을 위해 사진 촬영은 하지 않았습니다.

배양실 외부 모습입니다.

한 대표는 배양까지가 버섯재배의 8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균배양은 버섯재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배양이 잘되어야만 좋은 버섯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배양이 잘되게 하려면 배지에 들어있는 영양분이 매우 중요한데 앞에서 이야기한 톱밥, 비트펄프, 면실박의 함량에 따라 좌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배양이 완료되면 발 이과정을 거치고 나면 느타리버섯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느타리버섯 생육하는 모습입니다. 느타리버섯은 빛에 따라 자라는 속도에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적절한 광이 필요합니다. 광은 200 Lux를 기준으로 생육과 색깔에 따라 조금씩 변화를 주면 됩니다. 물론 빛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버섯은 온도와 환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환기 시 오염되지 않도록 각종 필터를 사용하는데 헤파필터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스 농원 병 느타리버섯이 자라고 있는 모습입니다. 수확이 가능한 크기입니다.

한스 농원에는 5명이 일을 하고 있는데 버섯을 포장하기 위하여 옮기고 있는 모습

버섯 팩 포장기라고 합니다. 가격이 수천만 원이라고 합니다.

버섯재배에는 이것 외에도 초음파 가습기, 열교환기, 히터, 냉동기, 외기 처리 유니트, 접종기, 소독기, 입봉기, 항온 습기 등 각종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여 다른 농작물에 비하여 초기 시설비가 많이 들어가는 편입니다.

버섯재배에 다양화를 위하여 느타리버섯 외에 별도로 장생 녹각 영지버섯을 재배하고 있는데 농업기술원 농산물가공팀과 일본 식품분석센터 자료에 의하면 베타글루칸함량이 기존 품종보다 2배 이상 높고, 상황버섯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당류의 일종인 베타글루칸은 인간의 정상적인 세포조직의 면역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feron)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 대표는 느타리버섯, 장생 녹각 영지버섯, 노루 궁뎅이 버섯을 재배하며 상품 판로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데 최근 시민들의 건강을 생각하여 만든 선물세트를 선보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한 대표는 "앞으로 버섯 재배 외에도 주변 농지를 구입하여 양상추 재배를 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라고 이야기하는 등 새로운 도전을 계속 이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블로그 폐쇄로 인하여 이곳으로 이동하였으며 작성일은 2016년 9월 10일 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